반응형
📌 LTV와 DTI 완벽 해설 + 직접 계산해보기
🏡 부동산 대출을 알아보다 보면 자주 마주치는 용어가 있습니다.
바로 LTV와 DTI입니다. 이름만 들어도 왠지 복잡하고 어려울 것 같지만, 사실 알고 보면 아주 기본적인 개념이에요 😊
이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LTV와 DTI가 무엇인지, 어떤 기능을 하는지, 그리고 실제 계산 방법까지 친절하게 안내해 드릴게요.
아래 파일로 대출 가능 금액 바로 확인해보세요!
직접 만든 HTML 웹입니다. 안심하고 이용하셔도 됩니다.
부동산을 살 때 대부분 현금 + 대출을 조합해서 자금을 마련하죠.
그런데 무분별한 대출은 금융시장에 큰 리스크가 되기 때문에, 정부는 이를 비율 기준으로 제한합니다.
그게 바로 👉 LTV와 DTI입니다.
💰 LTV (Loan To Value) – 담보인정비율
💡 뜻 | 집값 대비 대출 가능 금액의 비율 |
예시 | 6억 원짜리 집, LTV 40% → 최대 2.4억 원 대출 가능 |
목적 | 집값이 하락해도 은행이 대출금을 회수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 설정 |
🔎 예를 들어 볼까요?
- LTV 70% → 집값의 70%까지 대출 가능
- LTV 40% → 집값의 40%까지만 대출 가능
→ 규제가 강화되면 LTV가 낮아지고, 대출받기 어려워집니다.
📍 투기지역/투기과열지구일수록 LTV는 낮게 적용됩니다.
💳 DTI (Debt To Income) – 총부채상환비율
💡 뜻 | 연 소득 대비 연간 상환해야 하는 부채의 비율 |
예시 | 연봉 5천만 원, DTI 40% → 연간 2천만 원까지 원리금 상환 허용 |
목적 | 대출자가 갚을 능력이 있는지를 기준으로 판단 |
🔎 쉽게 말해 이런 거예요:
- 연봉이 5천만 원인데, 매달 300만 원씩 대출 원리금을 내야 한다면?
→ 연간 3,600만 원 = DTI 약 72%! → 위험한 대출로 판단
📍 DTI 규제가 강할수록 고소득자만 대출을 많이 받을 수 있게 됩니다.
LTV vs. DTI 비교
기준 | 집값 기준 | 소득 기준 |
의미 | 집값 대비 대출 한도 | 소득 대비 상환 가능액 |
적용 대상 | 부동산 가격 | 대출자의 소득 |
정책 목적 | 담보 가치 보호 | 상환 능력 확보 |
규제 강화 시 효과 | 대출 자체 축소 | 고소득자 제외한 대출 제한 |
🧩 정리하면?
- 📏 LTV는 "얼마까지 빌릴 수 있느냐"
- 📉 DTI는 "갚을 능력이 되느냐"를 따지는 기준이에요.
두 규제는 함께 작동해서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막고, 금융 건전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반응형
'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🏠 이재명 정부 서울 집값 부동산 규제 지역 해제 움직임 정리 (2) | 2025.06.28 |
---|---|
📊 2025년 6월 서울·경기도 아파트 매매 시장 분석: 지금 집 사도 될까요? (6) | 2025.06.20 |
🏠 수익형 부동산? 임대사업 운영 전략 (4) | 2025.06.20 |
🏘 부동산 경매 물건, 어떻게 고르면 좋을까요? (1) | 2025.06.16 |
🏠 부동산 경매 입문 가이드: 임장 뜻, 방법 (2) | 2025.06.14 |